리사 랜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사 랜들은 미국의 이론 물리학자이자 과학 저술가이다. 하버드 대학교 물리학과 교수이며, 입자 물리학과 우주론을 연구하며, 특히 랜들-선드럼 모형으로 알려져 있다. 1999년 라만 산드람과 함께 발표한 랜들-선드럼 모형은 5차원 시공간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우주 모형으로, 과학 대중화에도 기여하여 여러 저서를 출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1세기 물리학자 - 로저 펜로즈
로저 펜로즈는 수학, 물리학 분야에서 일반 상대성이론, 우주론, 양자 중력 이론 연구에 기여하고 펜로즈 타일링을 발견했으며, 등각순환우주론을 제안하고 의식의 양자적 해석을 제시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 활동을 펼치며 다수의 상을 수상한 학자이다. - 21세기 물리학자 - 남창희 (물리학자)
남창희는 서울대학교, KAIST,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KAIST와 GIST 교수를 거쳐 IBS 상대론적 레이저 과학 센터 초대 센터장을 지낸 대한민국의 물리학자로, 펨토초 레이저, 고차조화파, 아토초 펄스, 연엑스선 간섭계 및 현미경 기술 등을 연구하며 IUPAP 등 국제 학술 단체에서 활동했고, 미국 물리학회 및 미국 광학회 펠로우, 한국과학기술한림원상, 숭도광과학상, 대통령 표창 등을 수상했다. - 여자 물리학자 - 에미 뇌터
에미 뇌터는 독일 출신의 수학자이자 물리학자로, 추상대수학과 이론물리학에 지대한 공헌을 했으며, 대수학의 추상적인 개념 정립과 뇌터 정리 증명, 여성에 대한 차별 극복을 통해 수학과 물리학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친 역사상 가장 위대한 여성 수학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 여자 물리학자 - 마리아 괴퍼트메이어
마리아 괴퍼트메이어는 독일 태생의 미국 이론 물리학자로, 원자핵 껍질 구조 연구로 1963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으며, 핵 껍질 모델을 통해 '마법수' 현상을 설명하고 이중광자 흡수 이론을 제시하는 등 뛰어난 업적을 남겼다. - 끈이론학자 - 난부 요이치로
난부 요이치로는 일본 태생의 미국 물리학자이며, 양자색역학, 끈 이론, 자발 대칭 깨짐 등 입자물리학 분야에 기여하여 2008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 끈이론학자 - 데이비드 그로스
데이비드 그로스는 미국의 이론 물리학자이며, 1973년 점근적 자유성을 발견하고 양자색역학 공식화에 기여한 공로로 2004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리사 랜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리사 랜들 |
원어 이름 | Lisa Randall |
출생일 | 1962년 6월 18일 |
출생지 | 미국 뉴욕주 뉴욕 시 퀸스 |
국적 | 미국 |
거주지 | 미국 |
학력 | |
출신 학교 | 스타이브센트 고등학교 |
모교 | 하버드 대학교 (BA, PhD) |
박사 지도교수 | 하워드 조자이 |
박사 지도 학생 | 차바 차키 |
경력 | |
주요 근무 기관 | 로렌스 버클리 국립 연구소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프린스턴 대학교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하버드 대학교 |
연구 분야 | |
분야 | 물리학 |
주요 연구 업적 | 랜들-선드럼 모형 |
알려진 작품 | 《뒤틀린 통로》 (2005) |
수상 | |
수상 내역 | 클롭스테그 기념상 (2006) 릴리엔펠트 상 (2007) 앤드루 게만트 상 (2012) 사쿠라이 상 (2019) 오스카르 클라인 메달 (2019) |
기타 정보 | |
종교 | NOMA 주의자 |
2. 생애
리사 랜들은 1962년 뉴욕 퀸스에서 태어났다.[4] 1980년 스태이븐슨 고등학교를 졸업했으며,[5] 동급생으로 물리학자이자 과학 대중화가인 브라이언 그린이 있다.[6] 18세 때인 1980년 웨스팅하우스 과학 경진대회에서 1위를 차지했으며, 전국 공로 장학생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하버드 대학교에 입학하여 수학 55를 수강했고,[7] 1983년 물리학 학사, 1987년 하워드 조지 지도하에 이론 입자 물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1]
이후,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박사후 연구원을 지냈고, 1990년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조교수가 되었다. 슬론 재단의 특대 장학생이 되었으며, 1999년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부교수로 취임하였다. 2001년 하버드 대학교 교수로 취임하였으며, 같은 해 지역 라디오 방송국에서 과학 해설 프로그램을 담당하기도 했다.
현재, 하버드 대학교 물리학 교수이며, 프린스턴 대학교 물리학과에서 종신 재직권(테뉴어)을 가진 최초의 여성 교수이자,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및 하버드 대학교에서도 이론 물리학자로서 종신 재직권을 가진 최초의 여성 교수이다.
2. 1. 어린 시절과 교육
리사 랜들은 1962년 뉴욕 시 퀸즈에서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37] 1980년 18세의 나이로 웨스팅하우스 과학재능 경진대회에서 1등상을 수상하고, 공립 영재 학교인 스타이브센트 고등학교를 졸업했는데,[41] 동료 물리학자이자 과학 저술가인 브라이언 그린이 동창이었다.[6] 1983년 하버드 대학교에서 물리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1] 1987년 하워드 조자이의 지도 하에 하버드 대학교에서 이론 입자 물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1]연도 | 내용 |
---|---|
1962년 | 미국 뉴욕주 뉴욕 시 퀸스에서 출생.[4] |
1980년 | 스타이브센트 고등학교 졸업 (동창은 브라이언 그린)[5][6] |
1983년 | 하버드 대학교 졸업, 학사(BA) 학위 수여.[1] |
1987년 | 하버드 대학교 물리학과에서 박사(Ph.D.) 학위 수여.[1] |
2. 2. 학문 세계

랜들은 하버드 대학교 이론물리학 교수로 재직하면서 입자물리학과 우주론을 연구하고 있다. 기본 입자와 기본 힘에 대한 여러 가지 모형을 연구했으며, 그 중 가장 최근의 모형으로 랜들-선드럼 모형이 있다. 초대칭, 표준 모형, 급팽창 이론, 중입자생성, 대통일 이론, 일반 상대성 이론 연구에도 참여했다.[42] 2004년에는 이전 5년간 가장 자주 인용된 이론물리학자로 꼽혔다.
하버드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뒤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와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교수직을 역임하고 2001년 하버드 대학교로 돌아왔다. 프린스턴 대학교 물리학과 최초의 여성 종신 교수였으며, 하버드 대학교 최초의 여성 이론 물리학 종신 교수였다.[9][10]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2004년), 미국 국립 과학원(2008년),[2] 미국 물리학회 회원이기도 하다.
랜들은 여러 학회 조직에 관여하며 다수의 영향력 있는 이론물리학회지의 편집 위원으로 참가하고 있다.[1][8]
3. 주요 업적
1999년 라만 산드람 박사와 함께 "warped extra dimensions(뒤틀린 여분 차원)" 이론을 발표하여 물리학계의 주목을 받았다.[34] 2001년 하버드 대학교에서 종신 재직권을 받았으며, 2002년 유럽 입자 물리 연구소(CERN)에서 열린 이론 물리학 연구회에서 스티븐 호킹 박사의 옆자리에 초청받았다. 2005년에는 프린스턴 대학교와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에서 종신 재직권을 획득했다. 2007년 타임지의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100인"에 선정되었으며,[35] 같은 해 일본 도쿄 대학과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초청 강연을 진행했다.[36]
3. 1. 랜들-선드럼 모형
1999년 라만 선드럼과 함께 5차원 시공간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우주 모형인 랜들-선드럼 모형을 제시했다.[34] 이 모형은 우주의 계층성 문제(hierarchy problem)를 해결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여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랜들-선드럼 모형은 이후 끈 이론, 초대칭 이론, 추가 차원 이론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에 영향을 미쳤다.3. 2. 과학 대중화
랜들은 과학 저술 및 강연 활동을 통해 과학 대중화에 기여했다. 2005년 출간된 《숨겨진 우주(Warped Passages)》는 《뉴욕 타임즈》 선정 100대 주목할 만한 책에 선정되었으며,[42] 한국에서도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2011년 출간된 《천국의 문을 두드리며(Knocking on Heaven's Door)》 역시 《뉴욕 타임즈》 100대 주목할 만한 책에 선정되었다.[1]
2010년에는 작곡가 엑토르 파라(Hèctor Parra프랑스어)와 협력하여 오페라 《하이퍼뮤직: 일곱 평면에서의 사영 오페라》(Hypermusic: A Projective Opera in Seven Planes프랑스어)의 리브레토를 집필하였다.[16] 이 오페라는 파라가 랜들의 저서 《뒤틀린 통로: 우주의 숨겨진 차원의 미스터리를 풀다》에서 영감을 받아 작곡한 것이다.[16]
《천국의 문을 두드리며》의 하드커버와 페이퍼백 출간 사이, 책에서 논의된 주제인 힉스 보손 발견에 대한 탐구가 거대 강입자 충돌기에서 실제로 완료되었다.[11][12] 과학자들은 힉스 보손으로 확인된 입자를 발견했으며,[11][12] 이에 대해 랜들은 "사람들이 근본적으로 새로운 무언가가 발견되었다는 사실에 흥분하는 것은 얼마나 신나는 일인가"라고 말했다.[13] 랜들은 《힉스 발견: 빈 공간의 힘》(Higgs Discovery: The Power of Empty Space)이라는 전자책을 통해 거대 강입자 충돌기가 작동하기 전 예상되는 발견에 대해 기사를 썼다.[14]
4. 수상 경력
연도 | 상 이름 | 수여 기관 | 비고 |
---|---|---|---|
1992년 | 국립 과학 재단 젊은 연구자상 | 국립 과학 재단 | [27][28] |
2000년 | 영 인베스터스 상 | 국립 과학 재단 | |
2001년 | 아웃스탠딩 인베스터스 상 | DOE(미국 에너지부) | |
2003년 | 프레미오 카테리나 토마소니 에 펠리체 피에트로 키세시 | 로마 라 사피엔차 대학교 | [26] |
2004년 | 가장 많이 인용된 논문상 | 미국 물리학회 | |
2006년 | 클롭스테그 기념상 | (AAPT) | [24][25] |
2007년 | 릴리엔펠드 상 | 미국 물리학회 | [22] |
2007년 | E. A. 우드 과학 저술상 | 미국 결정학회 | [23] |
2008년 | 미국 업적 아카데미 골든 플레이트 상 | 아카데미 오브 어치브먼트 | [21] |
2012년 | 앤드루 게먼트 상 | 미국 물리학 협회 | [20] |
2019년 | J.J. 사쿠라이 이론 입자물리학상 | 미국 물리학회 | [19] |
2019년 | 오스카 클라인 메달 | 스톡홀름 대학교 |
5. 저서
리사 랜들의 저서 ''뒤틀린 통로''와 ''천국의 문을 두드리며''는 모두 ''뉴욕 타임스'' 선정 100대 주목할 만한 도서에 포함되었다.[1]
''천국의 문을 두드리며''의 하드커버와 페이퍼백 출간 사이에 거대 강입자 충돌기 과학자들이 힉스 보손으로 확인된 입자를 발견하면서 책에서 다룬 내용이 실제로 증명되었다.[11][12] 랜들은 이에 대해 "사람들이 근본적으로 새로운 무언가가 발견되었다는 사실에 흥분하는 것은 정말 신나는 일"이라고 언급했다.[13]
랜들은 ''힉스 발견: 빈 공간의 힘''이라는 전자책을 통해 거대 강입자 충돌기 작동 전 예상되는 발견에 대한 글을 썼다.[14] LHC가 지구를 파괴할 블랙홀을 만들 수 있다는 오해에 대해서는 "공간과 중력이 우리가 생각하는 것과 매우 다르지 않다면 상상조차 할 수 없다"고 답했다.[14]
또한, 랜들은 작곡가 엑토르 파라(Hèctor Parra)의 오페라 ''초고음악 서곡: 7개의 평면으로 구성된 투사 오페라''(Hypermusic Prologue: A Projective Opera in Seven Planes)의 대본을 썼다. 파라는 ''뒤틀린 통로''에서 영감을 받아 이 오페라를 작곡했다.[16]
5. 1. 한국어 번역 출간
- Warped Passages: Unraveling the Universe's Hidden Dimensions영어|2005}}: 숨겨진 우주한국어 (Warped Passages영어) (김연중, 이민재 옮김, 사이언스북스, 2008) ISBN 8983712147
- Knocking on Heaven's Door: How Physics and Scientific Thinking Illuminate the Universe and the Modern World영어|2011}}: 이것이 힉스다한국어 (Knocking on Heaven's Door영어) (이강영, 김연중, 이민재 옮김, 사이언스북스, 2013) ISBN 9788983714664
5. 2. 원서
제목 | 출판사 | 연도 | ISBN | 기타 |
---|---|---|---|---|
'Knocking on Heavens Door: How Physics and Scientific Thinking Illuminate the Universe and the Modern World'' | Ecco | 2011 | ISBN 978-0061723728 | |
'Warped Passages: Unraveling the Universes Hidden Dimensions'' | Ecco | 2005 | ISBN 978-0060531096 | |
숨겨진 우주 | 사이언스북스 | 2008 | ISBN 8983712147 | 김연중, 이민재 옮김 |
이것이 힉스다 | 사이언스북스 | 2013 | ISBN 9788983714664 | 이강영, 김연중, 이민재 옮김 |
뒤틀린 통로(Warped Passages) | ||||
천국의 문을 두드리며(Knocking on Heaven’s Door) | ||||
힉스 발견: 빈 공간의 힘(Higgs Discovery: The Power of Empty Space) | ||||
암흑 물질과 공룡: 우주의 놀라운 상호 연결성(Dark Matter and the Dinosaurs) | ||||
워프하는 우주 - 5차원 시공의 수수께끼를 풀다(ワープする宇宙 - 5次元時空の謎を解く) | 일본방송출판협회 | 2007 | ISBN 978-4-14-081239-6 | 무카이야마 신지 감역, 시오바라 미치오 역 |
리사 랜들 이 차원은 존재한다(リサ・ランドール 異次元は存在する) | 일본방송출판협회 | 2007 | ISBN 978-4-14-081216-7 | 와카타 코이치 공저 |
우주의 문을 두드리다(宇宙の扉をノックする) | NHK출판 | 2013 | ISBN 978-4-14-081621-9 | 무카이야마 신지 감역, 시오바라 미치오 역 |
암흑 물질과 공룡 멸종 - 신 이론으로 우주의 수수께끼에 다가가다(暗黒物質と恐竜絶滅 - 新理論で宇宙の謎に迫る) | NHK출판 | 2016 | ISBN 978-4-14-081695-0 | 무카이야마 신지 감역, 시오바라 미치오 역 |
랜들의 저서인 ''뒤틀린 통로''와 ''천국의 문을 두드리며''는 모두 ''뉴욕 타임스'' 100대 주목할 만한 도서 목록에 올랐다.[1]
참조
[1]
웹사이트
Faculty: Lisa Randall
https://www.physics.[...]
Harvard University Department of Physics
2014-01-01
[2]
웹사이트
Lisa Randall
http://www.nasonline[...]
NAS
2013-12-22
[3]
논문
Large Mass Hierarchy from a Small Extra Dimension
1999
[4]
뉴스
Lisa Randall: Warped view of the universe
https://www.theguard[...]
2023-01-12
[5]
웹사이트
Lisa Randall
http://edge.org/memb[...]
2014-01-01
[6]
뉴스
The String is The Thing Brian Greene Unravels the Fabric of the Universe
http://www.columbia.[...]
Columbia University
2014-01-01
[7]
뉴스
Class of 1984: Lisa Randall
https://www.thecrims[...]
The Harvard Crimson
2018-12-09
[8]
웹사이트
Curriculum Vitae of Lisa Randall
http://randall.physi[...]
Harvard University — Department of Physics
2013-12-22
[9]
웹사이트
Professor Franklin
https://www.physics.[...]
Harvard University
[10]
웹사이트
Notable Female Physicists
http://womeninphysic[...]
weebly.com
2013-12-22
[11]
웹사이트
The Higgs Boson
https://home.cern/to[...]
2017-07-01
[12]
웹사이트
How the Higgs Boson was Found
http://www.smithsoni[...]
2017-07-01
[13]
웹사이트
Point of Inquiry podcast
http://www.pointofin[...]
Center for Inquiry
2012-10-08
[14]
웹사이트
A Tumultuous Year at the LHC
http://discovermagaz[...]
2017-07-01
[15]
웹사이트
Large Hadron Collider Won't Destroy Earth With Planet-Eating Black Hole, Court Says
http://www.huffingto[...]
2012-10-21
[16]
웹사이트
Opera in the Fifth Dimension
http://seedmagazine.[...]
Seed Magazine
2013-12-08
[17]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1-04-21
[18]
간행물
Time 100
Time (magazine)
2007-05-14
[19]
웹사이트
2018 Stanley Corrsin Award Recipient
https://www.aps.org/[...]
[20]
웹사이트
Theoretical Physicist Lisa Randall Wins 2012 Gemant Award
https://www.aip.org/[...]
2019-04-04
[21]
웹사이트
Golden Plate Awardees of the American Academy of Achievement
https://achievement.[...]
American Academy of Achievement
[22]
웹사이트
2018 Stanley Corrsin Award Recipient
https://www.aps.org/[...]
2019-04-04
[23]
웹사이트
Part 1: Not Just Marie Curie - Westcoast Women in Engineering, Science and Technology - Simon Fraser University
https://www.sfu.ca/w[...]
2019-04-04
[24]
간행물
AAPT Announces 2011 Klopsteg Memorial Award Winner is Dr. James E. Hansen
2011-06-15
[25]
웹사이트
Klopsteg Memorial Lecture
https://aapt.org/Pro[...]
2019-04-04
[26]
웹사이트
Lisa Randall {{!}} Edge.org
https://www.edge.org[...]
2019-04-04
[27]
웹사이트
Recipient
https://www.aps.org/[...]
2019-04-04
[28]
웹사이트
NSF Award Search: Award#9257439 - NSF Young Investigator
https://www.nsf.gov/[...]
2019-04-04
[29]
웹사이트
The Discovery Interview: Lisa Randall
http://discovermagaz[...]
Discover Magazine, 29 July 2006
2017-07-01
[30]
웹사이트
Class of 1984: Lisa Randall Randall's Theory Increases Number of Dimensions in Physical Universe
http://www.thecrimso[...]
Harvard Crimson
2014-01-01
[31]
웹사이트
Confused by the whole shebang? She'll explain.
https://www.sfgate.c[...]
2005-09-01
[32]
웹사이트
Rock Climbing in Lisa Randall Wall, Dumont vicinity
https://www.mountain[...]
2024-06-05
[33]
웹사이트
Lisa Randall: Warped view of the universe
https://www.theguard[...]
2005-06-21
[34]
논문
Dr.R.Sundrumとの共著論文(英文)
https://arxiv.org/ab[...]
[35]
웹사이트
Lisa Randall - The TIME 100
http://www.time.com/[...]
[36]
웹사이트
来日記念講演(2007年7月28日)のお知らせ・東大 小柴ホール
http://www.s.u-tokyo[...]
[37]
서적
숨겨진 우주
[38]
저널
Large mass hierarchy from a small extra dimension
1999
[39]
저널
An alternative to compactification
1999
[40]
뉴스
美 MIT 두 물리학자 주장,“우리사는 세상은 5차원”
http://www.munhwa.co[...]
문화일보
2000-06-26
[41]
웹인용
The Third Culture - Lisa Randall
http://www.edge.org/[...]
Edge
2007-10-31
[42]
문서
a past winner of an Alfred P. Sloan Foundation Research Fellowship, a National Science Foundation Young Investigator Award, a DOE Outstanding Junior Investigator Award, and the Westinghouse Science Talent Search, Premio Caterina Tomassoni e Felice Pietro Chisesi Award
[43]
간행물
Time 100
타임 (잡지)
2007-05-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